Wikipedia:Higher Education Bubble 번역 본



This post is translated version of Wikipedia:Higher Education Bubble



고학력 버블 현상


고학력 버블 현상은 고등 교육(Higher education-역자주, 고등교육이란 대학 및 아카데미 이상의 교육을 칭하는 말임)에서 폭발적인 버블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미국에서 관찰되어졌는데, 고학력 버블 현상은 광범위한 경제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경제적인 버블의 위험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론에 따르면, 대학(College)의 등록금은 오르게 되면서, 학위를 얻음으로서 얻게 되는 보상은 감소하게 된다. 또 학자금 대출의 양이 많아지면서 학자금 대출의 디폴트(default-역자주, 채무 불이행)의 위기가 높아지게 된다. 대학생들은 꽤 오랜 시간 동안 그들의 빚을 갚을 만한 수준의 직업을 얻는 것에 실패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은 부동산 소유자들의 채무 불이행으로 인해 일어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유사한 양상으로 비교되어진다.


아래의 논의처럼, "고학력 버블"은 논쟁의 여자기 있기는 하며, 상당한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기도 한다. 4년제 대학의 졸업생의 수익과 고교 졸업생의 수입의 차이를 비교하게 되면 임금간의 격차가 1970년 이래로 급격하게 증가해 왔다는 자료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등록금(tuition)으로 인한 '채무 부담'의 증가도 있어 왔다. 자료에 따르면, 2008년에서 20009년 사이에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높은 증가가 있었긴 했지만, 학생들의 디폴트 비율은 1980년대 중반과 1990년대 이래로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대학 학위를 갖고 있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실업의 위기에 빠지지 않으며, 심지어 돈을 더 많이 벌고 더 높은 취업조건을 갖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맥킨지(McKinsey and Company)와 같은 세계적인 경영 컨설팅 회사는 대학에서 훈련된 기술자들의 부족과 대학을 졸업하지 않은 노동자들의 초과 공급에 대해 기획하였는데, 결국 임금 격차를 증가시키는 데에 기여했으며, 실업률은 심지어 더 증가하게 되었다.


1971년에 Time지는 "졸업하고 직업을 구하라, 비참한 신세계"라는 교육 기사를 집필하였다. 이 기사는 대학 졸업자(post-graduate student)의 수가 다가오는 십수년 안에 약 2배 이상 더 커질 것이라고 예측했는데, 1987년에 미국의 교육부 장관인 William Bennett는 처음으로 대출의 이용가능성이 확장되는 것이 사실 등록금과 교육적 버블을 증가시키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Bennett 가설"은 장기적으로 이용가능한 대출은 학교에게 수요의 탄력성에 대한 고민 없이 등록금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허가해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학 순위(College ranking)은 부분적으로는 그 대학의 지출 수준에 의해 유도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교육비는 대학 순위와 같은 공공적인 명예를 증가와 상호 연계되어 있고 (결국은 교육비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 지난 30년 동안, 대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서 대학 강의에서 사용되는 설비도 증가되었고, 더 많은 자원을 학생들에게 할당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대학은 학생들에게 많은 것을 제공했고, 교육비를 증가시키면서도 더 적은 학생들만을 입학시켰다. 이 것은 대학이, 학생들이나 부모의 재정적인 원조을 통해 교육비를 지불할 수 있을 만큼, 교육비를 가능한 한 많이 증가시키는 것에 큰 흥미를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인 셈이다.


그러나 자료들은 고등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절대적인 수의 증가 및 학위를 얻는 사람들의 비율의 증가 등을 통해 미국의 교육적 성취가 1960년대 이후로 상당히 증가해 왔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주장들은 공급의 부족을 강조하여, 버블이 자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왔다.

고학력 버블 이론의 다양한 것들은 전체적으로 고등 교육 분야에서는 일반적인 버블과는 다른 버블이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평균적으로 고등 교육은 이것에 대한 투자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 충분한 수익과 고용을 성장시킨다. 그러나 몇몇 분야의 학위들은 과대평가 되어 있어서, 그들은 소득을 증가시키거나 직업에 대한 전망을 개선시키지 못한다. 반면에, 몇몇 분야의 학위들은 과소평가되어 있어서, 그 학문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그들이 선택한 전공이 그들의 직업 전망과 미래의 수익에 얼마만큼의 가치를 가져다 주는지를 알지 못하게 하기도 한다. 이 이론에 대한 반대자들은, 학생들이 어떤 것을 공부하는 지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학교의 평등한 교육비에 대한 책임을 강조한다. 전공 간에서, 미래에 대한 손익비교(risk)에 따른 학자금 대출의 이익 차이는 고려되지 않는다. 물론 여기에는 전공만을 가지고서 입학 후 3년간의 학부생들의 대학 교육은 예측되기 어렵다는 증거가 있긴 하다. -역자주 이 부분은 위키피디아 문서가 의미가 정확하지 않음.


Hunttington Post의 2011년의 기사에서는 약 10% 정도의 신규 대졸자들의 취업률 증가가 있었다고 이야기되며, 중등 교육(Secondary education)만을 받은 사람들은 결과적으로는 급료가 줄어들거나 해고되었다고 이야기되고 있다. 고등 학교 졸업자들이, 대학 학위를 받은 학생들보다 세 배나 더 빈곤하게 산다는 주장의 한 근거가 되곤 한다. 노동부에서 제기된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학사 학위를 달성하는 것은 직업 시장에서 "상당히 유리한"고지를 차지할 수 있다는 것을 대변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 기사는 또한 단지 중등 교육만을 받은 학생들과 실업률을 가지고 비교했을 때에는 약간 더 높은 9.3%라는 것을 지적하기도 한다. 이 주장은 회사에서 사회초년생이나 신규 대졸자들을 실직하거나 시기를 놓친 사람들보다 더 선호한 다는 것들을 가지고 이에 대해 반론하기도 한다.


2010년의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는 고등 교육을 이수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열 가지 이익에 대해 주장한 적이 있다. 그러면서 이들은 대학의 학위가 졸업자나 사회에 의해서 지불된다는 것을 주장했다. 2011년 11월에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에서는 대학 졸업자들의 미래는 밝으며 더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주장되었다. 10%의 빠른 증가율이 새로은 학사학위자들의 고용 부분에서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에 의해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3,300명의 구인자들 중의 40% 정도는 전공 분야에 상관 없이 대졸자들을 고용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대답했다. 이 조사는 다가오는 직업 시장에서 (전공 분야에 관계 없이) 대학 졸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성에 대해 증명해 줄 수 있을 것이다.


2009년의 동일지에 의해 기고된 기사에서는 그들의 아이들을 대학에 보내는 비용이 그만한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것이었으며, 차례로, 유명한 경제 잡지인 The Economist지는 (경제적인) 버블이 폭발하는 것이 대학으로 하여금 그들의 학급이 가득 차는 것을 어렵게 만들 것이며-(역자주:서브프라임 등의 경제위기로 인한 소비감소가 대학 입학에 대한 지원을 줄일 것이며),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이러한 손상을 상쇄시키기 위해 몇몇 건설적인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The Boston Herald는 이에 더 나아가서 이러한 계획을 위한 소규모 대학들의 지출 증가가, 너무 많은 빚을 야기해 합병, 폐교 혹은 파산의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National Review지의 기고자인 Dan Lips는 버블의 폭발이 아마도 고등교육의 교육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고, Glenn Reynolds는 Washington Examiner에서 그들의 교육비를 빚에 의존하고 있는 학생들은 아마도 어려운 일을 겪게 될 것이라고 썼다.


2011년의 The Economist지의 기사 시리즈에서 더 많은 고학력 버블 현상에 대한 통계치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내용
1 논란
1.1 버블 이론의 대안들
1.2 해결법들
2. 함께 보기
3. 출처와 참조
4. 외부 링크들


논란


고학력 추세가 버블이라는 관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대다수의 경제학자들은 대학 교육을 통해 얻는 이익이 실패라고 여기지 않는다. 사실 이에 대한 자료들은 대학교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보상치가 증가하는 중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대다수이다.


금융 버블에서, 부동산과 같은 자산들은 때때로 높은 가격으로 되팔기 위한 목적으로 구매되어지곤 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이 가격을 급속도로 증가시키고 사람들은 미래의 가격을 위해 투기의 목적으로 사용되곤 한다. 이러한 연쇄의 끝은 자산의 불합리적인 매도를 불러일으키며 결과적으로 가격을 비정상적으로 만들고, 버블 폭발로 끝나게 된다.


대학에 감으로써 얻어지는 이익은은 단지 채무에 빚을 졌을 뿐이지 매매되어지지 않고, 고학력 추세에는 학위의 가치를 비정상적으로 붕괴시킬만한 자산과 유사한 유사한 구조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분석이 잘못되어졌다고 비판하곤 한다.


그러나, 고학력 버블이 오해라는 것에 대한 한 반박은 버블의 '폭발'이 학생들의 빚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관점이다. 예를 들면, 미국의 대학 협의회는 "오늘날 빚에 허덕이는 학생들은 이전에 비해 더 많아졌다... 높은 빚은 저소득 계층과 이민자들과 같은 계층에서, 그들에게 높은 부담을 지울 것을 의미하게 되므로 고등 교육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제한할 것이다."라고 보고하였다. 미국의 학생 지원 정책은 필수 계층보다는 학생들의 대출 프로그램에 그 자원을 꾸준하게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경향은 미래 세대와 높은 빚의 부담의 연관성을 더 강화시킬 것이다. 심지어 연방에 의해 승인된 도움을 얻는 학생들은 대학을 위해 이를 소비하는 것이 더 어려워 지는 중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적으로 자료를 분석해 보면 자료는 2008-09년의 소폭의 증가를 제외하고서는, 학생들의 채무불이행 정도가 1980년대 중반과 1990년대 이후로 계속해서 감소해 왔다고 보여지고 있다. 심지어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중에도, 대학 학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들이 높은 임금을 받고 있음에도 불과하고 실업에 처하는 위험이 적었다.


Ohio 대학의 경제학자인 Richard Vedder는 PBS Newsshow에서 이에 대해 언급했다.
"사실은 노동시장이 우리들에게 말하는 요구와, 대학 입학에서 필요한 것의 차이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미국정부노동통계자료연구소의 측정치에 따르면, 오늘날 3명 중 1명 정도로 대학 졸업생들의 직업은 이전 시기에나, 역사적으로 덜 교육받은 사람들에 의해 행해졌던 일이다. 직업은 고학력의 학업적인 수준이나,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 혹은 작문 능력과 같은 것들을 별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물론, 미국정부노동통계자료연구소(BLS)에 의해 출판된 몇몇 직업에 대한 자료는 대학 졸업생들의 불완전 고용의 양도 증가 되고 있다고 전하고 있긴 하지만, 본질적으로 BLS의 데이터는 고등 교육을 통해 얻는 추가적인 임금의 증가과 실업의 위험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


교육과 노동 시장에 대한 Vedder 교수의 연구는 그의 데이타 분석법 때문에 강도높게 비판되어져 왔다. 이에 대한 비판들은 그들이 그 자료들을 비판함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라기 보다는, 교수의 자유주의적인 가치관과 그의 오스트리안 학교 경제 이론을 위해 부적절하게 조작된 자료를 통해 형성된 연구라는 점에 집중하였다. 또 이에 대한 비판자들은 그 교수의 우편향적인 정치조직으로부터 기인한 교수 스스로의 이익과 정치적인 편견을 지적해 왔다.


버블 이론의 대안들.
 교육비가 오르는 원인에 대한 한 독특한 주장은 주 및 연방 정부의 대학에 대한 적절성의 감소에 있다는 것이다, 적절하지 못한 그들의 정책은 대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교육비에 더 많은 돈을 투자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버블인 것은 아니지만, 학생들에게 투자되는 비용을 올리는 한 형태가 된다. 공공적으로 소비되는 교육비 증가와 다른 은연중에 늘어나고 있는 다른 원인은 비록 New York Times가 이러한 주장들이 대게 과장된 것이라고 보고했었던 것이긴 하지만, 사교육의 증가에 있다.
또 다른 교육비 증가의 원인은 미국 의회의 학생 대출의 '대출 한도(Loan limits)'에 대한 주기적인 상승에 있다. 대출 한도의 증가는 학생들에게 더 많은 신용대출을 가질 수 있는 능력을 주며, 대학들에게 학생들이 더 많이 지불할 수 있다는 메세지를 보내는 원인이 된다. 이에 응해서, 교육비는 적절한 수준으로 맞춰지며, 학생들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해 주지만, 빚의 늪에 더 깊이 빠지게 만든다. 그러므로, 만약 학생들이 자유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돈을 지불할 수 있게 된다면, 비록 이러한 대출한도의 증가가 교육비를 낼 수 있는 능력이 없는 학생들을 지지하기 위해서 만들어 진 것이긴 하지만, 교육비는 더 높은 수준으로 오르게 되며, 결국 학생들이 대출이라는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충당할 수 없을 만큼까지 올라 빚을 지도록 만든다.
세 번째로, 새로운 주장은 최근의 소비자 보호에 대한 규정들을 줄이려는 연방법의 개정이 (신용, 파산의 진행, 제한적인 법률, 상환의 권리, 고리대금업, 공정한 회수대행업, 등등) 학생들에게 파산을 선언할 수 있는 능력을 지워나갔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채권자와 대학은 학생들이 그들이 빌렸던 것 때문에 빚에 늪에 빠져도 파산을 선언함으로써 스스로를 보호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결국 학생들이 갚을 수 있는 이성적인 수준의 학자금 대출을 제공하려는 동기를 줄이게 만들었다. 이 이론의 증거로서, 학생의 대출에서 그들의 파산을 보호하는 정책으로 회귀하는 것이 채권자들로부터 더 주의깊게 대출을 해 줘야 한다는 것과 학생들이 이용가능한 학자금 대출의 양이 급격하게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차례로 대학에게 홍수처럼 얻는 수입의 감소를 가져올 것이며, 그들은 수익을 늘리기 위해서 교육비를 기금을 통해 운용할 수 있는 적정 수준으로 낮추게 될 것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만약 학자금 대출이 파산을 정리할만한 능력이 되지 않는다면, 학생들이 디폴트를 맞게 되는 것보다 더 이익이 된다고 주장하며, 그러므로 대학과 학자금 대출의 채권자들은 학생들이 디폴트를 피할 수 있도록 하는 종류의 동기-자유시장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동기를 잃고 만다고 이야기한다. 이러한 주장은 특히나 의회의 비준이 없이 차용자의 이익, 세금, 그리고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정책을 수정할 수 있는 정부 하에서는 그 설득력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몇몇 사람들은 연방정부를 대출시장에 있어서 '육식'이라고 부르면서 높은 디폴트 비율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도 학자금 대출은 2008년에 사립 대학을 위해서 46.3%에 달하는 연방의 돈을 지출시켰었는데, 디폴트 비율은 18.6%에 달했다. 18.6%의 디폴트를 맞은 채무자들을 위해 46.3%의 달러가 지불된 것이다.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해설자 Gary North는 LewRockwell.com에서 "대학의 버블을 말하는 것은 바보같다. 이 버블은 대학기금을 만드는 것을 금지한 후의 몇 달 혹은 몇 년 이후까지 터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대학 기금이 사라진다는 신호는 전혀 찾을 수가 없다."라고 말했다.

Johns Hopkins 대학의, Reading Lolita in Tehran으로 유명한 저자인 Azar Nafisi 교수는 PBS NewsHour에서 '고학력 버블에 대한 순수하게 경제적인 분석은 불완전하다'라고 말하면서 이렇게 설명했다.

"대학은 문화라는 광산의 카나리아(역자주-새의 종류)가 되고 있다. 그들은 문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표준이 되어 있다. 모험적인 시도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가 사람들이 더 근본적이고 위기를 가져야만 하며, 사랑과 지식에 모두 열정적이어야 한다는 역본설(力本说, 역자주-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세계관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힘과 모멘텀을 중시한다)인 셈이다. 그리고 학생들과 학부는 모두 이러한 영역에 위치해 있다. 대학은 사회가 제공해야 하는 것의 최고를 대표해 주는 집단이다. 그리고 우리 대학이 세계에서 최고가 되어야 한다는 믿음이 있어 왔다."


- 추천 페이지 부분은 따로 해석하지 않음 


2013.01.25. 원문

Higher education bubble

The higher education bubble is a hypothesis that there is a speculative boom and bust phenomenon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particularly in the United States, and that there is the risk of an economic bubble in higher education that could have repercussions in the broader economy.
According to the theory, while college tuition payments are rising, the rate of return of a college degree is decreasing,[1] and the soundness of the student loan industry may be threatened by increasing default rates.[2] College students who fail to find employment at the level needed to pay back their loans in a reasonable amount of time have been compared to the debtors under sub-prime mortgages whose homes are worth less than what is owed to the bank.[3]
As discussed below, the "higher education bubble" is controversial and has been rejected by some economists. Data shows that the wage premium—the difference between what those with a four year college degree earn and what those with only a high school education earn—has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the 1970s, but so has the 'debt load' incurred by students due to the tuition inflation.[4][5][6] The data also suggests that, notwithstanding a slight increase in 2008–2009, student loan default rates have declined since the mid 1980s and 1990s.[7][8] Those with college degrees are much less likely than those without to be unemployed, even though they are more expensive to employ (they earn higher wages).[9] The global management consulting firm McKinsey and Company projects a shortage of college trained workers, and an excess supply of workers without college degrees, which would cause the wage premium to increase, and cause differences in unemployment rates to become even more dramatic.[10]
In 1971, Time ran an article "Education: Graduates and Jobs: A Grave New World," which stated that the supply of post-graduate students was around twice larger than the expected future demand in upcoming decades.[11] In 1987, U.S. Secretary of Education William Bennett first suggested that the availability of loans may in fact be fueling an increase in tuition prices and an education bubble.[12] This "Bennett hypothesis" claims that readily available loans allow schools to increase tuition prices without regard to demand elasticityCollege rankings are partially driven by spending levels,[13] and higher tuition prices are correlated with increased public perceptions of prestige.[14] Over the past thirty years, demand has increased as institutions improved facilities and provided more resources to students.[15]Additionally, schools tend to enroll fewer students as they improve student offerings and increase prices. This suggests that it is in schools' best interest to increase tuition prices as much as possible, so long as financial aid ensures an ability to pay on the part of students and parents. However, the data shows that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United States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1960s, with both the absolut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higher education and the percent of the population obtaining degrees increasing. This undermines claims of a supply shortage that would allow a bubble to grow.
A variation on the higher education bubble theory suggests that there is no general bubble in higher education—that is, on average, higher education really does boost income and employment by more than enough to make it a good investment—but that degrees in some specific fields may be overvalued because they do little to boost income or improve job prospects, while degrees in other fields may in fact be undervalued because students do not appreciate the extent to which these degrees could benefit their employment prospects and future income. Proponents of this theory have noted that schools charge equal prices for tuition regardless of what students study, the interest rate on federal student loans is not adjusted according to risk, and there is evidence that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ir first 3 years of college are not very good at predicting future wages by major.[5]
A 2011 article in The Huffington Post related concern that new college graduates hiring rates are up by 10 percent and that attaining a secondary level education eventually pays off. It is also suggested that high school graduates are three times more likely to live in poverty than students with higher education degrees. A recent study from the Labor Department suggests that attaining a bachelor's degree "represents a significant advantage in the job market".[16] However, the article also claims that those who only have a high school education—unemployment is slightly higher at a rate of 9.3 percent. The proponents of the article also claim that companies are most likely to hire an applicant straight from college rather than one who has been unemployed.
A 2010 article in the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suggest ten main benefits of obtaining a degree via higher education. Also suggesting that a college degree pays off financially and intangibly for the graduate, and overall for society. In November 2011,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ran an article concerning that the future is bright for college graduates and expected to improve.[17] A rapid 10% increase is anticipated for new bachelor's hires. A survey conducted by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suggests that 40 percent of 3,300 employers plan to hire graduates from all fields of study. The survey suggested stability in the upcoming job market.
A 2009 article in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related concern from parents wondering whether it is worth the price to send their children to college.[18] The Economist in turn hypothesized that the bubble bursting may make it harder for colleges to fill their classes, and that some building projects will come to a halt.[19] TheBoston Herald further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mergers, closures and even bankruptcies of smaller colleges that have spent too much and taken on too much debt.[20] National Review writer Dan Lips has proposed that the bubble's bursting may bring down higher education prices.[21] Glenn Reynolds wrote in theWashington Examiner that those who have financed their educations with debt may be particularly hard-hit.[22]
Further speculation as to the higher education bubble was the focus of a series of articles inThe Economist in 2011.[23]

Contents

  [hide

[edit]Controversy

Study comparing college revenue per student by tuition and state funding in 2008 dollars.[24]
The view that higher education is a bubble is controversial. Most economists do not think thereturns to college education are falling—in fact, the data suggests the rate of return is increasing.[4][5][6][25]
In a financial bubble, assets like houses are sometimes purchased with a view to reselling at a higher price, and this can produce rapidly escalating prices as people speculate on future prices. An end to the spiral can provoke abrupt selling of the assets, resulting in an abrupt collapse in price — the bursting of the bubble. Because the asset acquired through college attendance — a higher education — cannot be sold (only rented through wages), there is no similar mechanism that would cause an abrupt collapse in the value of existing degrees. For this reason, many people[who?] find this analogy misleading. However, one rebuttal to the claims that a bubble analogy is misleading is the observation that the 'bursting' of the bubble are the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who incur student debt, for example, as the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Colleges and Universities reports that "Students are deeper in debt today than ever before...The trend of heavy debt burdens threatens to limit access to higher education, particularly for low-income and first-generation students, who tend to carry the heaviest debt burden. Federal student aid policy has steadily put resources into student loan programs rather than need-based grants, a trend that straps future generations with high debt burdens. Even students who receive federal grant aid are finding it more difficult to pay for college."[26]
However, the data actually shows that, notwithstanding a slight increase in 2008–2009, student loan default rates have declined since the mid 1980s and 1990s.[7][8]And even during the recession, those with college degrees are much less likely than those without to be unemployed, even though they earn higher wages.[9]
Ohio University economist Richard Vedder has remarked on the PBS Newshour that:
"The reality is: there is a growing disconnect between what the labor market is telling us on the one hand and what college enrollments are on the other. By one way of measuring things, using U.S. Government Bureau of Labor statistics data, as much as one out of three college graduates today are in jobs that previously or historically have been filled by people with lesser educations, jobs that do not require higher-level learning skills, critical thinking skills, or writing skills or anything of that nature."[27]
However, while some occupation data published by the U.S. Government 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http://www.bls.gov/emp/#tables do support the contention that "under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is increasing, it is also true that other BLS data show that wages increase dramatically with additional higher education, and that the risk of unemployment dramatically decreases.[9]
Professor Vedder's work on education and labor markets has been heavily criticized, particularly his analysis of data. Critics have alleged that he inappropriately manipulates data to fit his libertarian and Austrian School economic theories, rather than adjusting his beliefs when they are contradicted by the data.[28][29][30][31]Critics have also pointed to possible conflicts of interest and political biases because professor Vedder accepts funding from right wing political organizations.[32]

[edit]Alternatives to bubble theory

A different proposal for the cause of rising tuition is the reduction of state and federal appropriations to colleges, making them rely more on student tuition. Thus, it is not a bubble, but a form of shifting costs away from state and federal funding over to students.[33] This has mostly applied to public universities which in 2011 for the first time have taken in more in tuition than in state funding,[33] and had the greatest increases in tuition.[24] Implied from this shift away from public funding to tuition isprivatization, although The New York Times reported that such claims are exaggerated.[33]
Another proposed cause of increased tuition is U.S. Congress' occasional raising of the 'loan limits' of student loans, in which the increased availability of students to take out deeper loans sends a message to colleges and universities that students can afford more, and then, in response,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raise tuition to match, leaving the student back where he began, but deeper in debt. Therefore, if the students are able to afford a much higher amount than the free market would otherwise support for students without the ability to take out a loan, then the tuition is 'bid up' to the new, higher, level that the student can now afford with loan subsidies.[34] One rebuttal to that theory is the fact that even in years when loan limits have not risen, tuition has still continued to climb.[35][36] However, that may not disprove this proposed cause: It may simply mean that other factors besides 'loan limit' increases played a part in the increases in tuition.
A third, novel, theory claims that the recent change in federal law removing all standard consumer protections (truth in lending, bankruptcy proceedings, statutes of limits, the right to refinance, adherence to usury laws, and Fair Debt & Collection practices, etc.) strips students of the ability to declare bankruptcy, and, in response, the lenders and colleges know that students, defenseless to declare bankruptcy, are on the hook for any amount that they borrow -including late fees and interest (which can be capitalized and increase the principal loan amount), thus removing the incentive to provide the student with a reasonable loan that he/she can pay back.[35][36] As proof of this theory, it has been shown that returning bankruptcy protections (and other Standard Consumer Protections) to Student Loans would cause lenders to be more cautious, thereby causing a sharp decline in the availability of student loans, which, in turn, would decrease the influx of dollars to colleges and universities, who, in turn, would have to sharply decrease tuition to match the lower availability of funds. [37] Under this theory, if student loans did not have the ability to file for bankruptcy, it would be more profitable for the lender if the student defaulted (due to the increases in the amount of the loan after fees and interest are capitalized), and thus there is no free market pressure-type motive for the lender or the college to help the student avoid default. This is especially true because the government, if it is the lender or guarantor of the loan, has the ability to garnish the borrower's wages, tax return, and Social Security Disability income without a court order.[38] Some have called the Federal Government 'predatory' for making loans which will have such a high default rate, since the default rate for Student Loans is projected to reach 46.3% of all federal dollars disbursed to students at for-profit colleges in 2008 (Budget lifetime default rate, loan default rate only 18.6%, meaning that 18.6% of all loans contain 46.3% of all dollars loaned out).[39][40]
Economic and social commentator Gary North has remarked at LewRockwell.com that "To speak of college as a bubble is silly. A bubble does not pop until months or years after the funding ceases. There is no indication that the funding for college education will cease."[11]
Azar NafisiJohns Hopkins University professor and bestselling author of Reading Lolita in Tehran, has stated on the PBS NewsHour that a purely economic analysis of a higher education bubble is incomplete:
"Universities become sort of like canaries in the mine for a culture. They become the sort of standard of where a culture is going. The dynamism, the originality of these entrepreneurial experiences, the fact that a society allows people to be original, to take risks, all of it comes from a passionate love of knowledge. And universities represent all the different areas and fields within a society. And the students and faculty come from all these fields. This is a community that represents the best that a society has to offer. And there was a mention of our universities being the best in the world."[27]

[edit]Recommendations

Based on the available data, a number of recommendations to address rising tuition have been advanced by both experts and consumer and students' rights advocates:
  •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look for ways to reduce costs of instructor and administrator expenditures (e.g., cut salaries and/or reduce staff).[41][42]
  • State and Federal governments should increase appropriations, grants, and contracts to colleges and universities.[41][43][44]
  • Federal,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reduce the regulatory burden on colleges and universities.[41]
  • The Federal Government should enact partial or total loan forgiveness for students who have taken out student loans.[42][45][46][47]
  • Federal Lawmakers should return standard consumer protections (truth in lending, bankruptcy proceedings, statutes of limitations, etc.) to Student Loans which were removed by the passage of the Bankruptcy Reform Act of 1994 (P.L. 103-394, enacted October 22, 1994), which amended the FFELP (Federal Family Education Loan Program).[42][48][49]
  • Cut lender subsidies, decrease student reliance on loans to pay for college, and otherwise reduce the 'loan limits' to limit the amount a student may borrow.[42][50][51]
  • Regulatory or legislative action to lower or freeze the tuition, such as Canada's tuition freeze model, should be enacted by federal lawmakers:[52]
  • More research should be done: Recognized financial expert, Mark Kantrowitz, issued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41]:
  • "The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should increase the frequency of the National Postsecondary Student Aid Study to annual, from triennial, in order to permit more timely tracking of the factors affecting tuition rate increases. Likewise, NCES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should take step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data collection and publication for the Digest of Education Statistics, so that all tables will include more recent data. The most recent data listed in some tables is five years old."
  • "The US Department of Education should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s in average EFC (Expected Family Contribution) figures and average tuition rates. In addition, it would be worthwhile to examine how historical average EFC figures have changed relative to family income when measured on a current and constant dollar basis for each income quartile."
  • Lastly, in order to offset the costs of tuition, some colleges help students in job searches and job placement after graduation.

댓글 없음:

댓글 쓰기